내일배움캠프

내일배움캠프 Unity - TIL : 25.02.07

달시_Dalsi 2025. 2. 7. 21:35
728x90

오늘 학습한 내용

1) 개인과제 피드백

매니저 인스턴스 남발 문제

제출한 개인과제에서 매니저 인스턴스를 과도하게 생성한 부분에 대해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인스턴스 관리의 중요성과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해 다시 한 번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시트 데이터 파싱

시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직접 파싱하여 클래스에 맞게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식이 좋았지만, 모든 클래스를 위해 개별적으로 파싱 코드를 구현해야 하는 점이 상당히 번거롭고 복잡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 JSON으로 파싱을 처리하면, 코드가 더 깔끔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2) 디버깅 방법

조사식 작업 실행창 활용

디버깅 시 조사식 작업 실행창을 활용하여, 코드 실행 중 변수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변수 가시적 표기

디버깅 과정에서 변수 값을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변수 값을 콘솔 또는 디버거에 가시적으로 표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의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새롭게 알게 된 점

인스턴스 관리의 중요성

매니저 인스턴스를 남발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만 생성하여 메모리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깨달았습니다.

 

효율적인 데이터 파싱

수동으로 파싱하여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식을 고집하고 있었지만, JSON 파싱을 활용하면 코드가 훨씬 간결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진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디버깅 도구의 활용

조사식 작업 실행창과 변수 가시화 기술을 통해 디버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체감하였습니다.

 

 


앞으로의 계획

코드 개선

앞으로의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싱글톤 패턴 등으로 매니저를 생성하여 자원 낭비를 줄이도록 할 것입니다.

 

데이터 파싱 방식 개선

복잡한 수동 파싱 대신 JSON 파싱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를 더욱 깔끔하게 구현하여 앞으로의 방식에 기존 방법 대신 쓰도록 하겠습니다.

 

디버깅 기술 

금일 배운 디버깅 기술을 적극 사용하여 기존의 Log버릇을 고쳐야겠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