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Unity에서 UI를 만들 때 Image와 RawImage는 자주 사용되는 컴포넌트입니다. 이 두 가지는 비슷해 보이지만 용도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 개념
Image
Image는 Unity의 UI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로 Sprite를 사용하여 UI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Image컴포넌트는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 Sprite 이미지를 사용
- 이미지의 크기와 비율을 조정하는 기능 제공
- 다양한 Fill 방식 지원. (채우기 비율, 방향)
RawImage
RawImage는 Texture를 렌더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통 비디오, 동적 텍스처 또는 일반 Sprite로 처리할 수 없는 렌더 텍스처(Render Texture)와 같은 동적인 요소를 렌더링할 때 활용됩니다.
주요 특징
- Texture를 직접 렌더링
- Shader를 사용하여 커스텀 렌더링 가능
- 주로 비디오, 동적 텍스처, 또는 3D 오브젝트의 렌더링 결과 표시 (CCTV, 미니맵, 거울 등)
Render Texture란?
Render Texture는 Unity에서 렌더링 결과를 텍스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텍스처입니다. 보통 카메라 출력이나 동적 그래픽 데이터를 화면이 아닌 메모리에 저장하여 다른 객체에서 활용할 때 사용됩니다.
- 미니맵: 위에서 내려다본 카메라 시점을 렌더 텍스처로 저장 후 UI에 출력.
- CCTV 화면: 특정 카메라 시점을 렌더 텍스처로 저장하여 TV 화면에 표시.
- 거울 효과: 거울 시점을 가진 카메라의 출력을 렌더 텍스처로 처리 후 거울에 적용.
주요 차이점
Image | RawImage | |
사용하는 리소스 | Sprite | Texture |
주요 용도 | UI (버튼, 아이콘 등) | 동적 콘텐츠(비디오, 렌더 텍스처 등) |
Fill 방식 | O (예: Radial, Horizontal 등) | X |
성능 | UI 최적화됨 | 추가적인 작업 필요 |
사용 예시
Image 사용 예시
- 버튼과 이미지
- UI에서 버튼이나 아이콘 같은 정적인 요소에 적합.
- 예: 메뉴 버튼, HP 바.
- 마스크 효과
- 마스크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하여 특정 영역만 표시.
- 예: 동그란 프로필 사진 프레임.
- 채우기 애니메이션
- 이미지의 Fill 설정으로 HP 바, 쿨다운 타이머 표시.
- 예: 스킬 쿨다운 UI.
RawImage 사용 사례
- 비디오 플레이어
- Video Player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하여 동영상을 UI로 표시.
- 예: 게임 내 컷신 재생.
- 렌더 텍스처 표시
- 3D 오브젝트의 렌더링 결과를 UI에 표시.
- 예: CCTV 화면, 미니맵.
- 동적 텍스처 렌더링
- 스크립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텍스처 데이터를 업데이트.
- 예: 사용자 커스터마이징 화면.
장단점 비교
Image | RawImage | |
장점 | UI 최적화되어 있음. 마스크 및 레이아웃 시스템과 잘 통합. Fill 방식 등 다양한 기본 기능 제공. |
Texture를 직접 렌더링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음. 동영상, 렌더 텍스처 등 다양한 콘텐츠 지원. |
단점 | Sprite만 사용할 수 있어 동적 콘텐츠에 한계 | 마스킹 기능 미지원. 추가적인 셰이더나 스크립트 작업 필요. |
마무리
Image와 RawImage는 각각의 목적이 뚜렷한 컴포넌트입니다.
- Image: 정적인 UI 요소에 적합.
- RawImage: 동적 콘텐츠나 커스텀 렌더링에 적합.
728x90
'Unity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사운드 매니저 구현 (Sound Manager) (0) | 2025.01.13 |
---|---|
[Unity] 2D 무한 배경 구현하기 (0) | 2025.01.12 |
[Unity] unity6의 웹 배포 빌드 방식 (1) | 2025.01.05 |
[Unity] Unity6 픽셀 아트 2D 라이팅 튜토리얼 (2) (0) | 2025.01.05 |
[Unity] Unity6 픽셀 아트 2D 라이팅 튜토리얼 (1) (1) | 2025.01.05 |